우리는 세금을 내고 살고 있습니다.
회사에 다녀도 자영업을 해도 기업을 운영해도 심지어는 백수인 상태라고 할지라도 세금은 피해갈 수가 없습니다.
숨쉬고 있는 한 내야하는 것이 세금입니다.
하지만 제 주위를 봐도 세금에 대해서 잘 모르시는 분이 많으십니다.
물론 바쁘셔서 세금에 대해 알아보기도 힘들고, 어차피 회사에서 알아서 해주는데 뭐하러 관심을 가지냐면서 굳이 알 필요가 없다는 분들도 계시는데요.
아닙니다.
세금은 무조건 알아야 하는 것 중 하나입니다.
알면 내야 할 세금도 줄일 수 있고, 모르면 안내도 되는 세금을 낼 수도 있게 됩니다.
우리는 일상생활 속에서 알게 모르게 많은 세금을 내고 살아갑니다.
사업을 해서 돈을 벌면 소득세를 내야하고, 번 돈을 가지고 부동산이나 자동차 등을 구입하게 되면 취득세를 내야 하고 집이나 자동차 등을 소유하는 것만으로도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 자동차세 등을 내고 있습니다.
또한 부동산을 팔 때에는 양도소득세를 내고, 자녀에게 증여를 할 경우에는 증여세가 부과됩니다.
뿐만 아니라 부모님의 재산을 상속할 때마저 상속세를 냅니다.
그래도 이 정도의 세금은 보통 거의 알고 계시는 세금일 거라고 생각됩니다.
위와 같은 세금뿐만 아니라 좀 더 일상생활에 포함되어 있는 세금으로 물건을 살 때, 음식점에서 음식을 먹을 때에는 부가가치세(VAT)가 붙어있는 금액을 결제하게 되고, 고급가구등을 사면 개별소비세가 붙게 되고, 술을 마시면 주세, 담배를 피면 소비세가 부과됩니다.
또한 지금부터는 잘 모르시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계약서를 작성할 때에는 인지세, 면허를 가지고 있다면 등록면허세 등등 셀 수 없이 무수한 세금의 종류가 있고 그것들을 내면서 살고 있는데 세금을 몰라도 된다고 생각한다는 것은 있을수 없는 일일 것입니다.
그러므로 세금에 대해 어렵다고 피할 것이 아니라 무관심에서 벗어나 내가 현재 어떤 세금을 내고 있으며, 어떤 행동에 어떤 세금을 내야 하는지 알고 싶어하는 관심이 필요합니다.
그럼 우선 세금의 종류에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나라에서 내는 세금의 종류는 크게 '국세'와 '지방세'로 나누어 집니다.
국세는 다음과 같이 '내국세'와 '관세'로 나뉘며, 내국세는 우리나라의 영토 안에서 사람이나 물품에 부과되는 세금으로 국세청에서 담당하는 세금입니다. 관세는 아마존이나 알리익스프레스 등에서 직구를 해본 경험이 있는 분들이라면 잘 아시겠지만 외국으로부터 물품을 수입할 때 부과하는 세금으로 관세청에서 담당합니다.
지방세는 지역의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재원으로 쓰기 위해 지방자치단체에서 과세하는 세금으로 다음과 같이 '도세'와 '시군세'로 나뉩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득공제를 위한 영수증들 (0) | 2020.05.19 |
---|---|
간이과세자와 일반과세자의 차이점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0) | 2020.05.18 |
교육비 공제의 한도액과 계산방법 (0) | 2020.05.17 |
의료비 세액공제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0.05.16 |
근로소득세 계산 과정 (0) | 2020.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