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원천징수는 누가, 어떻게 해야할까요?

by «™»ㅤ 2020. 5. 23.
반응형

원천징수는 누가, 어떻게 해야할까요?


 

 

목차

     

     


     1. 원천징수는 누가, 어떤 경우에 해야하는지? 

    원천징수는 원청징수 대상이 되는 소득이나 수입금액을 지급할 때 미리 낼 세금을 빼고 지불하는 것으로써 원천징수의무자는 지급하는자가 됩니다.

     

    원천징수의 대상 소득은 다음과 같습니다.

    ▶ 봉급, 상여금 등의 근로소득

    ▶ 이자소득, 배당소득

    ▶ 퇴직소득, 연금소득

    ▶ 상금, 강연료 등 일시적 성질의 기타소득

    ▶ 인적용역소득(사업소득)

    ▶ 공급가액의 20%를 초과하는 봉사료

     


     2. 원천징수 세액 납부 방법 

    원천징수한 세액은 다음 달 10일까지 은행·우체국 등 가까운 금융회사에 납부하고, 원천징수이행상황신고서는 세무서에 제출하여야 합니다.

    관할세무서장으로부터 반기별 납부 승인 또는 국세청장의 지정을 받은 자는 상반기 원천징수한 세액을 7. 10.까지, 하반기 원천징수한 세액을 다음해 1. 10.까지 납부하면 됩니다.

     

    ▶ 반기별 납부대상자

    직전 과세기간(신규사업자는 신청일이 속하는 반기) 상시 고용인원이 20인 이하인 사업자(금융보험업 제외)로서 세무서장의 승인 또는 국세청장의 지정을 받은 자

    ▶ 신청기간

    상반기부터 반기별 납부를 하고자 하는 경우:직전연도 12. 1.~ 12. 31.

    하반기부터 반기별 납부를 하고자 하는 경우:6. 1.~ 6. 30.

     


     3. 기타소득의 원천징수 

    원천징수할 세액 = (지급액 - 필요경비) X 20% 로 계산합니다.

     

    ※ 필요경비

     

    ▶ 지급금액의 60%를 인정하는 경우

    - 일시적 인적용역(강연료, 방송해설료, 심사료 등)

    - 공익사업과 관련된 지역권· 지상권 설정대가

    - 창작품에 대한 원작자로서 받은 원고료· 인세 등

    - 상표권, 영업권, 산업상 비밀 등의 자산이나 권리의 대여금액

    - 통신판매 중개업자를 통한 연수입 500만 원 이하 물품· 장소의 대여소득

     

    ▶ 지급금액의 80%를 인정하는 경우

    - 공익법인이 주무관청의 승인을 얻어 시상하는 상금· 부상

    - 다수가 순위 경쟁하는 대회에서 입상자가 받는 상금· 부상

    - 서화, 골동품의 양도로 발생하는 소득(1억 원 이하 또는 10년 이상 보유 후 양도분 90% 인정) 단, 실제 사용된 필요경비가 80%(90%)를 초과하는 경우 그 금액

    - 계약의 위약· 해약으로 받는 주택입주 지체상금

     

    ▶ 기타 : 수입금액을 얻기 위하여 지출한 비용


     4. 사업소득의 원천징수 

    원천징수대상 사업소득을 지급할 때에는 지급금액의 3%를 원천징수 하여야 합니다.

     

    ▶ 원천징수 대상 사업소득

    - 전문지식인 등이 고용관계 없이 독립된 자격으로, 직업적으로 용역을 제공하고 받는 대가

    - 의사 등이 의료보건용역을 제공하고 받는 대가 등


     5. 봉사료의 원천징수 

     

    ▶ 원천징수 대상

    사업자가 음식·숙박용역 등을 제공하고 그 대가와 함께 봉사료를 받아 자기의 수입금액으로 계상하지 아니하고 이를 접대부 등에게 지급하는 경우로서, 그 봉사료 금액이 매출액의 20% 를 초과하는 경우

     

    ▶ 원천징수 세액

    봉사료 지급액의 5% 를 원천징수 하여야 합니다.

     


     6. 지방소득세 소득분의 원천징수 

    소득세를 원천징수할 때는 원천징수세액의 10%를 지방소득세 소득분으로 함께 원천징수하여 납부하여야 합니다.

     


    반응형
    facebook twitter kakaoTalk naver band shareLink